Skip to Main Content
경제 및 시장 논평

골드러시 이후: 포트폴리오에서 원자재의 전략적 역할

투자자들은 금에 대규모 자금을 투자했지만, 전반적인 원자재에 대한 배분을 통해서도 매력적인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After the Gold Rush: The Strategic Role of Commodities in Portfolios
골드러시 이후: 포트폴리오에서 원자재의 전략적 역할
Headshot of Greg Sharenow
 | {read_time}분 소요

  • 최근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금값은 각국 중앙은행의 매입과 투자 자금 유입에 힘입어 1970년대 이후 가장 강력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 금 외에도 투자자는 매력적인 잠재 수익률과 포트폴리오 분산 효과를 제공하는 전반적인 원자재에 대한 배분도 고려해야 합니다.
  • 원자재는 인공지능 붐, 그린에너지 전환, 원자재 생산업체의 자본 배분 행태 변화 등 장기적 요인들에 의해 오랫동안 혜택을 받을 것입니다.

금값이 온스당 4,300달러를 넘어선(이후 일부 상승분 반납) 극적인 랠리가 헤드라인을 장식했습니다. 저희는 투자자들이 수많은 원자재 시장의 장기적 동인들과, 전반적인 원자재가 매력적인 잠재 수익률을 제공하고 포트폴리오 분산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도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최근 금 가격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지난 1년간 금 가격 상승률은 S&P 500 지수도 넘어섰습니다. 금 가격 상승에는 몇 가지 요인이 있습니다. 1) 외환보유고 다각화와 자산 몰수 방지를 꾀하는 중앙은행(특히 신흥국)의 금 매입, 2) 연방준비제도의 실제 및 예상 금리 인하(금리 인하로 금 보유의 기회비용이 감소하므로), 3) 지난 수십 년간 최대 규모의 글로벌 가격 충격으로 다수 포트폴리오의 잠재적 인플레이션 리스크가 드러난 후 실물 자산 보유를 추구하는 고액 자산가, 글로벌 국부펀드, 연금기금 및 개인 투자자 자금의 금 실물 및 금 상품 유입.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금(그리고 은)은 명목 가격 기준 사상 최고치에 도달했으며, 금만 보면 실질가격 기준으로 45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차트 1 참조).

차트 1: 2025년 인플레이션 조정 기준 금의 신고가

이 선형 차트는 1960년 이후 현물 금 가격과 인플레이션 조정 금 가격을 추적합니다. 2025년 이전에는 인플레이션 조정 기준 최고가는 1980년 초 약 3,600 달러 바로 아래였지만, 2025년 9월에 그 최고치를 넘어섰습니다.
출처: 블룸버그 및 PIMCO, 2025년 10월 7일 기준

차트 2: 2020년 이후 수익률과 리스크 데이터가 보여주는 원자재의 매력

이 차트는 2019년 12월 31일부터 2025년 9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 원자재, 금, 글로벌 채권, 미국 채권, 글로벌 주식, 그리고 ‘Magnificent 7’ 기술 기업을 제외한 미국 주식의 수익률, 변동성, 인플레이션 베타를 비교합니다. 광범위한 원자재는 7.52%의 성과를 기록해 채권을 앞섰으며, 변동성은 15.09%로 주식보다 낮았습니다. 또한 원자재는 0.10으로 가장 높은 인플레이션 베타를 보입니다.
출처: 블룸버그 및 PIMCO 데이터, 2019년 12월 31일 ~ 2025년 9월 30일. 자산군 대체 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원자재: Bloomberg Commodity Index Total Return, 금: Bloomberg Gold Total Return Index, 글로벌 주식: MSCI World Index, S&P 500(미국 주식의 대체 지표 ("Magnificent 7" 기술 기업 제외)), 글로벌 채권: Bloomberg Global Aggregate Total Return Index, 미국 채권: Bloomberg US Agg Total Return Index. 인플레이션 베타는 예상을 벗어난 인플레이션에 대한 특정 자산 수익률의 민감도로 정의됩니다.

Figure 3: Return correlations across key asset classes since 2020 show diversification appeal of broad commodities

이 차트는 2019년 12월 31일부터 2025년 9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 원자재, 금, 글로벌 채권, 미국 채권, 글로벌 주식, 그리고 ‘Magnificent 7’ 기술 기업을 제외한 미국 주식의 수익률 상관관계를 보여줍니다. 원자재는 채권과의 상관관계가 거의 없으며(−0.01), 금은 미국 및 글로벌 주식과 각각 0.14와 0.21로 비교적 낮은 상관관계를 보입니다.
Source: Bloomberg and PIMCO data from 31 Dec. 2019 through 30 Sept. 2025. See Figure 2 for asset class proxies.

Macroeconomic and market developments across the global economy this decade have offered a real-world example of the textbook case for hedging inflation via both commodities and gold. Historically, adding commodities has tended to improve portfolio returns and lower overall portfolio volatility versus a traditional 60/40 portfolio of equities and fixed income (see Figure 4).

Figure 4: Commodities have helped boost portfolio returns while trimming volatility

이 산점도는 2025년 9월 30일까지의 5년간 연환산 성과와 변동성을 두 가지 가상의 포트폴리오(주식 60%/채권 40% 배분, 그리고 주식 60%/채권 30%/원자재 10% 배분)에서 비교합니다. 후자의 포트폴리오는 연환산 수익률이 31bp 더 높고 변동성이 75bp 더 낮았습니다.
Source: Bloomberg and PIMCO as of 30 September 2025. Calculations are based on a 10% addition of commodities sourced from bonds in a 60/40 portfolio (60% stocks proxied by S&P 500 Total Return Index and 40% bonds proxied by Bloomberg US Aggregate Total Return Index).

History has shown that inflation does not need to be rising or even particularly high to warrant owning liquid real assets, and that in periods when inflation is just above the central bank targets, real assets may demonstrate their benefits of not only reducing volatility but supporting returns. While we all know that past performance does not guarantee future results, we expect the secular forces of recent years to persist, underpinning commodity returns for years to come.

More to Know

경제 및 시장 논평

향후 미국의 통화정책 경로는 노동시장 여건에 크게 좌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경제 및 시장 논평

연방준비제도는 미국 노동시장에 대한 리스크 증가가 통화정책 완화 이유라고 언급했습니다.

경제 및 시장 논평

미국 연준, 경기 위험 균형 변화에 따라 정책 전환 가능성 즉, 금리 인하 시사

경제 및 시장 논평

글로벌 불확실성 속에서 유럽은 성장률 둔화에 직면해 있지만, 향상된 안정성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것입니다.

경제 및 시장 논평

연방준비제도는 7월 회의에서 향후 경기 전망에 대한 지침을 거의 제공하지 않고 다소 매파적인 어조를 보였습니다.

경제 및 시장 논평

당사는 연준이 미국 노동시장 동향에 따라, 올해 후반부터 점진적인 금리 인하를 재개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경제 및 시장 논평

PIMCO의 지속 가능 투자 보고서는 지속 가능성에 대한 최신 관점을 제시합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당사의 분석 역량 강화 방안을 포함하여 주요 시사점을 소개해 드립니다.

경제 및 시장 논평

연준 관계자들은 금리 인하를 고려하기 전에 미국 노동 시장의 약화에 대한 확실한 증거가 나올 때까지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경제 및 시장 논평

보전관리 체제에서의 조급한 해제는 모기지 금리 상승과 주택 구매 여력 악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경제 및 시장 논평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연준 의장을 해임할 의사가 없다고 밝혔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연준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법률을 시험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경제 및 시장 논평

미국의 성장과 인플레이션 전망은 미국의 공급망이 중국에서 상당히 빠르게 철수(pivot out)할 수 있는 능력에 달려 있는데, 그 과정은 원활하지 않을 것입니다.

경제 및 시장 논평

대통령은 관세에 대해 어느 정도 유연성을 시사했지만, 여전히 광범위한 무역 정책 의제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Select Your Location


Americas

Asia Pacific

  • Japan

Europe, Middle East & Africa

  • Europe
Back to top

PIMCO.com에서 나가기

이제 PIMCO 웹사이트를 나갑니다.